head first ch2 - 동적인 html 페이지. ( 이게 더 맞는듯 : 사용자 요청을 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 Container의 지배를 받는다. (Container에 의해 실행, 관리됨) - 세 가지의 이름을 가진다.1. fle path name ; 클래스 명, 파일 이름 등이 필요. 실제 파일명2. 배포명 ; 내부적으로만 사용됨.3. 공공의 이름, URL.* 사용자가 클릭하여 서블릿을 호출할때 사용됨. - URL Mapping1. URL을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이름과 연결2. 내부에서 사용하는 이름과 실제 PATH Name을 연결. - 통신 지원. - Servlet Life cycle 관리 - multi threading 지원- 요청이 들어올때마다 스레드를 생성, - 보안 관리 - jsp 지원원 - Conta.. 더보기 head first ch1 * html ; 브라우저가 화면에 컨텐츠를 어떻게 출력할지에 대한 명령/* http ;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html페이지를 http로 보낸다. *http ;- Request 구성요소 : http 메소드 (실행할 액션 ), 접근하고자 하는 페이지 (Url) , 폼 파라미터 (메소드의 매개변수와 비슷한 것)- Respond 구성요소 ; 상태코드( 요청의 성공 유무 등 ), 컨텐츠 타입( 텍스트, 그림, html등), 컨텐츠 ( 실제 내용물) * GET ; 서버로 부터 무언가를 돌려받는다. 단순한 자원을 요청.- 데이터를 보내는 글자수에 제한.- 전송방식이 브라우저 URL뒤에 데이터가 붙으므로, 노출된다.- 요청라인에 parameter를 기술한다. * POST ; 서버에게 자원을 요청할 때 필요한 정보를 .. 더보기 어플 서버 개념 출처 : http://www.androidside.com/bbs/board.php?bo_table=B49&wr_id=72437 출처 : http://www.androidpub.com/2420357 데이터 베이스는 mysql, mssql, 오라클이 있겠지만 무료이고 많이 사용하는 mysql을 사용하는것을 추천합니다. mysql을 사용할때 자바는 JDBC를 이용해서 연결하지만 안드로이드 경우JDBC가 사용이 되지 않으므로 톰켓 상용서버를 이용해서 jsp, php같은 서버사이드언어? 서블릿 페이지?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와의 직접 통신으로 해결하거나 http, tcp통신같은 것으로 서버를 직접 구축후에 서버에 데이터를 넘겨주고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와 처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부분 아파치 톰켓으로 서버를 만들고.. 더보기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44 다음